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건축시공] 공정 관리 기법
    건축 2022. 2. 6. 09:00

    1.5.2 GANTT CHART
    1900년대 초 테일러(F.W Taylor)에 의해 표준시간 설정 등의 과학적 관리가 제창된 이후 세계 대전중 미육군 병기국 에서 병기생산을 위해 간트(Henry L. Gantt) 가 공정관리 기법으로 처음 개발하여 간트 도표(Gantt Chart : 막대그래프) 가 사용되었다.
    간트 도표는 종축에 공사종목별로 각 공사명을 작업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횡축에 날짜를 표기한 다음 공사명별 공사의 시작과 끝을 횡선의 길이로서 소요시간에 대응시켜 단순하게 작도한 그래프이다.
    그러나 작업 상호간의 의존관계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CPM 기법에서처럼 어느 작업이 한계상태(Critical path) 에 있고 어느 것이 여유가 있는지를 알아낼 수는 없었다.

    1.5.3 Milestone Chart
    간트 도표 이후 제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서 미국 해군에서는 간트 도표를 개량한 마일스톤 법이란 관리 방법을 채용하기 시작 하였다. 이것은 간트 도표의 막대 그림 위에 공사의 개시, 종료 및 공사 중의 중요한 계획 기간을 Milestone(이정표) 으로 표시하고, 이것을 주요 관리점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트 도표를 보다 세분하여 이들 중에서 중점 관리를 필요로 하는 단위 작업을 설정, 집중관리를 실시함으로써 여러가지 작업가운데 중점관리 대상 작업의 목표 달성 여부에 비중을 두는 기법으로, 단위 작업 상호간의 선후 의존관계가 고려된 방법이다.

    1.5.4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Task)→(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58년에 미국 해군 군수국(Bureau of ordnance)의 특별기획실(Special Project Office)의 계획 평가부문(Program Evaluation Branch)에 의해 폴라리스 함대 탄도미사일 계획의 개발과정에 따르는 일정의 계측, 제어의 기술로 개발되어 당초에는 단순한 일정만을 계획, 관리하는 기법으로 성립된 것이다.

    1.5.5 CPM (Critical Path Method)
    CPM은 1957년 Dupont사 공무부(Engineering Service Division) 의 월커(Morgen R. Walker)와 레민턴랜드사의 켈리(James E. Kelley) 등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실험용의 모델 플랜트에 의하여 분해 검사와 유지관리를 위하여 플랜트를 일시 폐쇄하는 프로젝트의 일정과 원가의 관리에 적용 되었다.
    PERT와 CPM은 각각 독립하여 개발된 것인데 기법, 용어와 함께 매우 다른 것이었다. 그러나 양자는 그후 서로 뒤섞이고 종합되어서 현재에는 CPM(Complete Project Management) 시스템 이라고 할 만큼 일반화되었다.
    1.5.6 Resource Allocation (자원배분)
    자원배분(Resource Allocation)이란 자원 소모량과 투입 가능한 자원량을 상호 조정하고 자원의 허비시간(Idle Time)을 제거함으로써 자원의 효율화를 기하고 아울러 비용의 증가를 최소로 하고자 개발 되었다.
    앞서 초기의 PERT/CPM 이론은 단지 작업들 간의 상호관계만을 고려하여 일정 계획을 세우고 자원 한계를 고려하지 않는 계획을 세움으로써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다음 그림에서와 같이 불규칙적인 자원 분포를 보여준다.

    자원 배분은 자원의 한계량을 고려하여 일정의 재산정을 고려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자원배분 기법이 이루어지기 이전 단계에서는 자원 한계량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발행하는 공사 지연을 사전에 막을 방법이 없었으나 이 기법이 개발됨으로써 자원 공급의 지연으로 인한 공사지연이 사전에 방비 될 수 있게 되었다.


    1.5.7 PERT/CPM
    PERT는 당초에는 단순한 일정만을 계획, 관리하는 기법으로 성립된 것인데, 1961년부터 1962년에 걸쳐서 인부수(數)나 원가의 관리에도 확장되어져 맨스케쥴링이나 PERT/COST 시스템의 성립을 보게 된다.
    1962년 DOD, NASA Guide, PERT Cost System Design 과 같은 책자를 미국정부가 출간함으로 인하여 비용통제 시스템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계획과 통제의 측면에서 단가×물량 개념의 비용관리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1.5.8 WBS INTEGRATION
    프로젝트 해석을 위하여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 작업을 빠짐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책임 수준이 높은 단계에서 낮은 단계로 분해하여 정리함으로써 프로젝트를 각 단계별로 작업 단위와 공사 전체와의 관계를 알아 볼 수 있으며, 최저 단계까지의 정의를 쉽게 할 수 있다.

    1.5.9 ADM (Arrow Diagramming Method) 또는 IJ식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중의 하나인 ADM 공정표(화살형 네트워크) 라고도 하는데 ADM 이란 Arrow Diagramming Method의 약자로서 각 작업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법이란 뜻으로 I-J식 네트워크라고도 한다.
    제 목 : 〈Gantt Chart와의 비교〉

    1.5.10 PDM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연관도표, AON Diagramming
    프리스던스식 네트워크는 일명 AON 공정표라고도 하는데 AON은 Activity on Node 의 약어로서 I-J식과는 반대로 각 작업을 Node ( 보통□로 표시하고 ○로 표시할 때에는 써클 네트워크라고도 함)로 표기하고 화살표(Arrow)는 단순히 작업의 선후관계만을 나타낸다. 앞서의 I-J식 네트워크를 프리시던스식 네트워크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특히 프리시던스식 네트워크는 4가지의 다양한 작업관계(relation-ship)로 표기할 수 있는 최대의 장점이 있다. I-J식에서는 선행 작업이 끝나고 후행 작업을 시작하는 Finish-to-Start 의 관계만이 허용되나 프리스시던스식은 그 외의 관계도 가능하여 즉, Start-to-Start, Finish-to-Finish, Start-to-Finish의 관계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1.5.11 Cost and Schedule Integration
    PERT/CPM 이론은 최초 개발 당시만 해도 복잡한 구조화의 문제, 방대한 데이터량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PERT/CPM 이론은 엄청난 투자와 더불어 운영을 위한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특수한 영역에 속하였다.
    그러나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PC의 등장과 MIS 이론의 정착, 그리고 컴퓨터 사용자들의 증가로 이제는 일정관리의 문제, 예산산정의 문제, 자원배분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반회사에서도 유효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 공정관리 일반이론
    2.1 공정관리개념
    공정관리는 공사의 기본자원 즉 4M(자재, 장비, 인력, 자금)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 운영하여 공기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관리 효과를 내는 종합 공사 관리수단으로써 작업방법의 개선과 작업 일정계획의 수립 및 합리적인 자원 관리를 하여 공사(Project)를 성공리에 완성케 하는 공사 관리의 총체적인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건설 공사에 있어서 광의의 공사 관리는 단순히 PERT/CPM 에 의한 일정관리가 아닌 한 Project 의 계약단계에서 완공에 이르는 모든 활동의 계획, 통제, Project 에 투입되는 자원의 조달 및 관리, Project 수행 중 발생되는 제비용의 통제 관리를 포괄하는 Project Management 즉 Construction Management를 의미한다.
    2.2 공정관리 수행과정
    일반 건설 공사에서의 공정 관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2.3 공정관리기법의 종류
    (1) Gantt Chart : 통상 Bar-Chart를 의미
    (2) CPM(Critical Path Method) : 반복적이고 경험적인 사업에 적용
    (3) PERT(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 경험 없는 신규사업에 확율적 방법으로 사용
    (4) GERT(Graphical Evaluation Review Technique) : 반복되는 제조공정 및 시험 공정에 사용
    (5) LOB(Line Of Balance) : 공장 생산 Line의 공정 관리 기법에 주로 사용됨
    (6) PERT/CPM : PERT와 CPM의 장점을 살려서 사용하는 NAS 기법임

     

    출처 : http://cafe.naver.com/civilpro/81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