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계획] 차량 도로 계획. 차량 교통.건축 2022. 2. 8. 09:00
차량교통
(1) 도로계획
– 주거단지와 연결되는 간선도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
• 기존도로의 연결 및 잠재적 연결 가능성
• 지형
• 시설물 및 쾌적한 환경
• 주거지로서의 개발 강도☛ 간선도로(幹線道路) 계획
– 지구내 간선도로는 지선로에 의해 자주 끊겨서는 안된다.
– 간선도로에서 횡단보도의 빈도는 최소 300m마다 설치한다.
– 간선도로 교차는 T자형으로 하며, 교차지점간의 간격은 최소 400m이상으로 한다.
– 간선도로의 교차각은 최소 60° 이상이어야 한다.
– 간선도로가 30°도 이상 우회할 때 우회지점에 지표를 설치한다.
– 모든 공공시설물은 인접된 둘 이상의 간선도로에서 보행거리 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주구(住區) 지선로(支線路) 계획
– 단지 내의 차량 이동은 저속을 유지하도록 한다.
– 2개의 간선도로를 곡선형으로 연결시켜 차량속도를 감소시킨다.
– 각 주로는 지선로에 의해 연결되지만 지선로에 건물이 직접 면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주동(柱棟) 접근로 계획
– 접근로는 환경적으로 가장 나쁜 지역에 둔다.
– 접근로는 주택의 배열 및 오픈스페이스가 결정된 후 결정한다.
– 차량조작, 주차 및 완충시설 등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고, 차량과 세대간의 관계를 설정한다.☛ 주구 내 집산도로(集散徒路) 계획
– 불규칙한 커브형태로 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감속시키도록 한다.
– 자연지형을 따르도록 하며, 수목들을 제거하여 가시거리를 확보한다.
– 차량이외의 수단으로 접근이 가능한 곳에는 차도와 인도를 분리시켜 주위환경을 개선시킨다.☛ 기능별로 도로를 분류
간선도로
주간선도로
– 대량통과 교통의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도시 내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
보조간선도로
– 주간선도로와 집산도로 또는 주요 교통발생원을 연결하는 도로
– 근린주거생활권의 외곽을 형성하고, 도시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는 도로집산도로
– 다른 도로로부터 모이는 교통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도로
– 근린주거생활권의 교통을 보조간선도로에 연결하는 도로국지도로
– 주택지•상업지 따위에서 직접 통행이 이루어지는 도로
– 아파트단지 사이나 주택 사이에 흔히 보이는 도로(2) 도로의 형식
1. 격자형 도로(grid pattern)
– 그리드상 패턴으로 민간분양지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며, 통과교통의 침입이 쉽고(통과교통 유발) 도로의 우선순위가 불명확할 경우 교통사고 발생이 쉽다.
– 가로망의 형태가 단순•명료하고, 가구 및 획지 구성상 택지의 이용효율이 높다.
– 교통을 균등 분산시키고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 격자형 도로의 교차점은 40m 이상 떨어져야 하며, 업무 또는 주거지역으로 직접 연결되어서는 안된다.2. 선형도로(linear road pattern)
– 폭이 좁은 단지에 유리하고, 양 측면 또는 한 측면의 단지를 서비스 할 수 있다.
– 도로가 특색이 있는 지형과 바로 인접할 경우, 비교적 가까이에서 보행자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3. 단지 순환로(루프형, loop형, ring road)
– 단지 순환로가 단지주변에 분포하는 경우 최소한 4~5m 정도 완충지를 두고 식재하는 것이 좋다.
– 단지가 공원 또는 다른 오픈스페이스와 인접할 경우 7~8m 정도의 여유를 두고 후퇴시켜 보행자의 이동 및 이들 공간과 인접한 세대들을 위한 신중한 계획이 수반되어야 한다.
– 우회도로가 없는 쿨드삭형의 결점을 개량하여 만든 패턴• 빠른 우회도로를 두어 단지내로 통과차량의 진입을 방지
– 장점: 통과교통감소로 안전한 도로공간 및 생활공간형성과 안정된 도로공간이 조성되므로 가구의 규모에 따라 정돈된 경관연출이 가능
– 단점: 루프형으로 도로의 길이가 길어져 불필요한 차량의 진입이 감소하여 통과교통량이 감소하지만 도로율이 높아짐※ 도로율: 시가지면적에 대한 도로의 점유면적의 백분율로, 도시의 기반시설 확충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4. T자형
– 구획도로와 국지도로의 빈번한 교차 발생, 방향성이 불분명5. 쿨드삭(Cul-de-sac)
– 단지 내 도로를 막다른 길로 조성하고, 끝부분에 차량이 회전하여 나갈 수 있도록 회차공간을 만들어 주는 기법의 도로로, 통상 종단부에는 순환광장을 설치한다.
– 주거단지에 조성되는 도로의 유형 중 부정형지형이나 경사지들에 주로 이용되며, 통과교통이 차단되어 조용한 주거환경을 보호하는데 가장 유효하고, 보행자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으나, 개별획지로의 접근성은 다소 불리하고, 우회도로가 없어 방재상•방범상의 단점이 있다.
– 또한 종단부에는 피난통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도로의 형태는 단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한쪽방향으로만 진입하는 도로와 단지와 중앙 부분으로 진입해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도로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 모든 쿨드삭은 2차선이어야 한다.
– 차량의 흐름을 주변으로 한정하여 서로 연결하며 차량과 보행자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출구가 하나이므로 교통이 혼잡해질 것에 유의해야 한다.
– 쿨드삭의 적정길이는 120m에서 300m까지를 최대로 제안하고 있다. 300m일 경우 혼잡을 방지하고 안정성 및 편의를 위하여 중간지점에 회전구간을 두어 전구간이동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미연방 주택국 제안, FHA(Federal Housing Administration)]※ 쿨드삭(Cul-De-Sac)
– 단지계획에서 도로형태의 하나로 주택가, 근린주구 설계 등에 많이 적용
– 도로의 끝을 막거나 하여 막다른 길을 만들어 놓음으로써 주택가의 통과교통을 방지하고(각 가구와 관계없는 자동차의 진입을 방지) 소음공해를 줄일 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교통을 안전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 주차는 각 주거단위 앞에 일렬주차 시켜 놓고, 주로 끝부분 막힌 부분을 원형으로 도로를 돌려 차를 돌려나갈 수 있게 한다.'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구조] 철골보 웨브의 개구부 (0) 2022.02.08 [건축구조] H 형강 주각부 (0) 2022.02.08 [건축구조] 구조계산서 작성 기준 (0) 2022.02.07 개축시 주차장 설치 (영 제2조 제3호) (0) 2022.02.07 건축사보 자격기준에서 실무 경력 인정기준 (0)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