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물, 농산물 포장용 PP, OPP, PE, PVC에 대해서 알아보자물질 2022. 3. 11. 00:52
- PP 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PET 가 뜨거운 물을 부으면 수축하는 것과 달리 열에 강하다.
끓는 물에 닿아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아 식품위생법에 적합하다.
1회용 음식물, 한약 포장팩이나 종이컵 내부에는 대부분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어 있다.
고온에는 강한 반면, 저온(-5도 이하)에서는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원래 불투명하다. 투명한 소재가 활용범위가 더 넓기 때문에 이를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서 갖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복해서 접었다 폈다 해도 잘 파손되지 않는다. 이를 힌지성이 좋다고 한다. - OPP Oriented Polypropylene 방향성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을 잡아당겨 늘린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잡아당긴 방향으로 잘 찢어지게 된다.
빵봉투에 많이 사용한다. - PE Polyethylene 폴리에틸렌
HDPE, LDPE, L-LDPE가 있다.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증기, 공기를 투과하지 않는다.
접착이나 인쇄를 하기 어렵다.
파라핀과 분자량만 다르기 때문에 태우면 초와 같은 냄새가 난다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PE 중 가장 딱딱한 재료다. -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비닐 봉지다.원래 비닐이란 에틸렌에서 수소가 하나 빠진 분자 구조를 의미하는데, 우리가 아는 비닐 봉지에는 비닐이 없다.
바스락거리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과 잘 늘어나는 성질을 갖고 있다. -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는 강도면에서 HDPE보다는 낮고 LDPE보다는 높다. 성질은 주로 LDPE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포장재로 많이 사용되는데, 열접착성이 좋고 무독성으로 식품포장지 내면에 주로 사용된다.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우리가 흔히 아는 페트 병의 원료. 가볍고 무색 투명하다. 용융점이 높아(240도) PP 보다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얇은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찌그러진다. - PVC Poly Vinyle Chloride 폴리 염화 비닐
PVC는 불에 탈 경우 염화수소가스(HCl·물에 녹을 경우 염산)가 나온다. 이 HCL의 부식성이 매우 강한 탓에 PVC의 재활용이 매우 어렵고, 일반쓰레기로 소각할 때도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재질 중에서 폴리염화비닐(PVC)이 "최악의 플라스틱"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도 PVC는 우리 주변에서 여전히 널리 쓰인다. 환경부는 2019년 PVC를 포장재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의약품과 햄·소시지류(천하장사 소시지와 같은 상온 유통·판매 제품 한정), 마트용 축ㆍ수산물을 포장할 때는 허용했다. PVC랩은 잘 들러붙고 습기가 차지 않는데, 기능면에서 대체재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91000020002522?did=NA
'물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벌레가 만들어 내는 발암 물질 퀴논 quinone (0) 2022.02.09 덱스트린 dextrin, 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0) 2022.01.17 이산화탄소 CO2 노출 시 응급 조치 요령 (0) 2022.01.16 베이킹 소다를 제산제로 써도 괜찮을까? (0) 2022.01.15 황화수소 H2S 노출, 중독시 응급조치와 치료 (0) 2022.01.15 - PP 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